육아

신생아 분유 타는 법(분유 기초상식/분유량 계산/분유 먹이는 방법)

즐밍 2023. 5. 11. 22:43

안녕하세요~!

처음 분유를 먹여보는 엄마들은 어떻게 분유수유를 해야할지 많은 고민이 있으실텐데요,

오늘은 분유타는 법, 분유수유에 대해 알아볼게요 ^_^

 

분유수유 기본 상식

1. 몸무게 1kg당 180ml정도로 먹인다.

생후 1개월까지 신생아가 필요로 하는 하루 분유량은 몸무게 1kg당 180ml정도입니다. 

하지만 아이에 따라 먹는 양이 다르므로 아이가 원하는 만큼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수유 리듬이 서서히 자리 잡아 백일 무렵까지는 3~4시간에 한 번씩, 하루 6~7회 먹습니다.

그 후 단계별로 적정량씩 먹이다가 늦어도 돌 무렵에는 떼는 것이 좋습니다.

칼로리가 높아 유아식과 병행할 경우 소아 비만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후 6개월 이후부터 컵으로 분유를 먹이면 보다 수월하게 분유를 뗄 수 있습니다. 

 

2. 분유는 먹기 직전에 탑니다.

분유는 번거롭더라도 먹기 직전에 타서 먹이는 것이 원칙입니다. 

물에 탄 분유를 상온에서 20분 정도 둔 후 먹이는 것은 괜찮지만, 미리 타서 냉장고에 보관한 후 다시 데워서 먹여서는 안됩니다. 상하거나 영양분이 파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생후 6개월까지는 젖병을 철저히 소독해야합니다.

면역력이 약한 생후 6개월 이전 아이에게는 매번 삶아서 소독한 젖병을 물리도록 합니다.

젖병 세정제와 전용 솔을 이용해 젖병과 젖꼭지를 구석구석 깨끗하게 씻은 후 끟는 물에 삶은 열탕 소독을 해야 합니다.

젖병은 2~3분 정도, 젖꼭지는 30초 정도 삶는 것이 적당합니다. 

 

4. 적당한 구멍의 젖꼭지로 먹입니다. 

젖꼭지는 젖병을 거꾸로 들었을 때 분유 방울이 5~6cm 간격으로 뚝뚝 떨어지는 정도가 적당합니다.

젖꼭지 구멍의 크기가 클 경우 아이가 급하게 빨기라도 하면 갑자기 많은 양이 흘러나와 호흡곤란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젖꼭지 구멍이 너무 좁아도 빨기가 힘들어서 아이가 수유를 거부할 수 있기 떄문에 적당한 구멍의 젖꼭지로 먹여야 합니다.

 

5. 모유 먼저 먹이고 분유를 먹입니다.

모유를 먹이다가 본유수유로 바꿔야한다면 혼합수유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처음에는 모유를 먹인 후 분유를 20~30ml 추가로 먹여봅니다.

아이가 분유를 잘 먹고 만족해하면 분유량을 서서히 늘려갑니다.

 

6. 젖병에 익숙해지도록 배고플 때 물립니다.

젖꼭지의 감촉을 익혀야 하므로 처음부터 무리하지 말고 하루에 한 번이라도 젖병을 물리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서서히 분유수융 횟수를 늘리는데, 낮잠을 잔 뒤나 배가 고플 때 먹이면 효과적입니다.

분유맛을 낯설어하면 우선 모유를 젖병에 담아 먹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분유타는 법

1. 분유량 맞추기

계량스푼으로 분유를 뜬 다음 분유통 윗부분에 있는 지지대를 이용해 위를 깎아 정확하게 계량합니다.

계량스푼 하나당 20ml의 물을 넣는 것이 원칙입니다.

 

2. 물 붓기

팔팔 끓인 물을 70도 정도로 식혀서 먹일 양의 2분의 1 또는 3분의 1을 붓습니다. 

물은 수돗물이나 생수를 팔팔 끓인 후 식혀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분유 섞기

젖병을 두 손으로 비벼서 분유를 녹인 다음 물을 마저 붓고 분유가 녹을 때까지 다시 비벼서 섞습니다.

마지막으로 마개를 열어 공기를 뺍니다.

 

4. 온도 맞추기

엄마의 손등이나 손목 안쪽에 떨어뜨려 온도를 확인합니다.

뜨겁다 싶으면 젖병을 잠깐 동안 찬물에 담가 적정 온도로 식힙니다.

30~40도정도가 먹기에 적당합니다. 

 

신생아 분유의 양

1. 0.5개월(3.4kg)까지는 2스푼 조유량 80ml를 하루 7~8회 먹입니다.

2. 0.5~1개월(3.8kg)일 때는 3스푼 120ml를 6~7회 먹입니다. 

3. 1~2개월(4.5kg)일 때는 4스푼 160ml를 6회 먹입니다.

4. 2~6개월(5~8kg)일 때는 5스푼 200ml를 5회 먹입니다. 

 

이것은 평균치에 달하는 수치이며, 몸무게가 좀 적은 아이들이라면 몸무게에 곱하기 150ml를 해서 하루에 총 먹어야 하는 분유량을 계산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분유 타는 비율

분유 농도가 진할 경우 장에 부담이 생길 수 있어서 설사와 탈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반대로 너무 묽은 경우에는 아기의 몸무게가 잘 늘지 않고 영양이 부족해 변비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유를 탈 때는 양을 마음대로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분유별로 권장하는 농도에 따라 분유를 타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유를 잘 녹이는 방법

분유를 녹일 때 젖병을 위 아래로 흔들어서 녹이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위아래로 흔들어서 녹이게 되면 분유 안에 공기 방울이 많이 생겨서 신생아 배앓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좌우로 비비듯이 돌리며 녹여주는 것이 분유도 더 잘 녹고 좋은 방법입니다.

 

분유 먹이는 방법

1. 아이를 안습니다.

엄마의 젖가슴에 아이를 밀착시켜 안습니다.

아이를 이렇게 안으면 아이가 엄마의 심장 소리를 들으면서 분유를 먹을 수 있습니다.

 

2. 젖병을 물립니다.

45도 각도로 아이의 입에 젖병을 물립니다. 

아이의 입술에 분율ㄹ 한 방울 떨어뜨려 아이가 입을 벌리면 혀 위에 젖꼭지를 올려놓습니다. 

 

3. 세워서 트림을 시킵니다.

아이의 가슴이 엄마의 어깨에 닿을 정도로 세워서 안고 등을 토닥토닥 쓰다듬으며 트림을 시킵니다.

 

4. 엎드려 트림을 시킵니다.

아이가 목을 가누지 못해 안기가 어려운 경우라면 엄마 무릎에 아이를 엎드려놓은 다음 등을 쓸어내리며 트림을 시킵니다.

 

그 외 알아두어야 할 것

-젖병의 꼭지 부분은 손으로 만지지 않습니다. 세균이 번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먹다 남은 분유는 30분 이내로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먹다 남은 분유가 1시간 이상 지나게 되면 아기의 침으로 박테리아가 번식할 수 있고, 설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분유는 개봉 후 3주 이내에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분유캔은 물이나 열에 약합니다. 따라서 싱크대나 가스레인지 근처에 두면 안됩니다. 

분유캔은 항상 건조한 곳에 두는 것을 권장합니다. 

 

 

오늘은 분유타는 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_^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